
새로운 탐사대 시작을 알리며, 사전 오픈워크숍을 진행합니다!!
*폐어구탐사대 모집은 진행하지 않으며, 탐사대원을 위한 워크숍이지만 누구나 참여 가능합니다.
제주도에는 16곳의 해양보호구역이 존재합니다.
그러나 지속적인 모니터링, 지역 사회의 참여, 사업 점검과 관리평가 등
해양생태계 보호라는 목표를 충족하는 관리활성화 단계는 전무한 상황입니다.
그래서 2025년 <폐어구 탐사대>는 해양보호구역에서 발생, 발견되는 폐어구(어업/레저낚시)에 집중하고자 합니다.
우리의 기록은 향후 해양보호구역의 어업과 레저낚시의 관행을 제도적으로 개선하고,
나아가 ‘더 많은, 더 나은’ 해양보호구역의 확대와 관리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입니다.
남방큰돌고래, 바다거북, 연산호 등 해양보호생물의 주요 서식지가 폐어구로 교란, 훼손되지 않기를 바랍니다.
✅강의1: 해양쓰레기와 함께 과학/정치하기 - 김지혜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연구원
✅강의2: 해양쓰레기 해결을 위한 국내외 정책 방향 - 허승은 전 녹색연합 녹색사회팀장
✅강의3: 해양쓰레기를 기록하고 나누는 방법 - 박요섭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포항로봇실증기지 책임기술원
[일시] 2025년 6월 21일(토) 오후 18시~21시
[장소] 무근성본부 (제주시 무근성7길 3)
[신청] 6월 20일(금)까지 >> https://forms.gle/Pb5pzpzvmBCSuFMZ7
[주최] 해양시민과학센터 파란
* 문의:
박성준 <폐어구 탐사대> 기획단 010-2947-일공일공, ssangzy1@naver.com
윤상훈 해양시민과학센터 파란 전문위원 010-8536-오육구일, dodari@greenkorea.org



새로운 탐사대 시작을 알리며, 사전 오픈워크숍을 진행합니다!!
*폐어구탐사대 모집은 진행하지 않으며, 탐사대원을 위한 워크숍이지만 누구나 참여 가능합니다.
제주도에는 16곳의 해양보호구역이 존재합니다.
그러나 지속적인 모니터링, 지역 사회의 참여, 사업 점검과 관리평가 등
해양생태계 보호라는 목표를 충족하는 관리활성화 단계는 전무한 상황입니다.
그래서 2025년 <폐어구 탐사대>는 해양보호구역에서 발생, 발견되는 폐어구(어업/레저낚시)에 집중하고자 합니다.
우리의 기록은 향후 해양보호구역의 어업과 레저낚시의 관행을 제도적으로 개선하고,
나아가 ‘더 많은, 더 나은’ 해양보호구역의 확대와 관리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입니다.
남방큰돌고래, 바다거북, 연산호 등 해양보호생물의 주요 서식지가 폐어구로 교란, 훼손되지 않기를 바랍니다.
✅강의1: 해양쓰레기와 함께 과학/정치하기 - 김지혜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연구원
✅강의2: 해양쓰레기 해결을 위한 국내외 정책 방향 - 허승은 전 녹색연합 녹색사회팀장
✅강의3: 해양쓰레기를 기록하고 나누는 방법 - 박요섭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포항로봇실증기지 책임기술원
[일시] 2025년 6월 21일(토) 오후 18시~21시
[장소] 무근성본부 (제주시 무근성7길 3)
[신청] 6월 20일(금)까지 >> https://forms.gle/Pb5pzpzvmBCSuFMZ7
[주최] 해양시민과학센터 파란
* 문의:
박성준 <폐어구 탐사대> 기획단 010-2947-일공일공, ssangzy1@naver.com
윤상훈 해양시민과학센터 파란 전문위원 010-8536-오육구일, dodari@greenkorea.org